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과 발급병원 찾기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건증은 보통 알바나 취업을 할 때 발급받아야 합니다. 식당이나 급식소 같은 요식업에 일을 하기 위해서는 보건증이 꼭 필요합니다.
식품 관련 업종에서 알바를 하는데 보건증이 없다면 벌금입니다. 아르바이트생뿐만 아니라 고용주도 벌금을 내야 합니다. 그러니 꼭 발급 후 일을 해야 합니다.
옛날에는 보건증이라고 불렸지만 현재는 건강진단 결과서라고 불립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아직도 보건증이라고 불립니다.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
보건증 인터넷발급 전에 먼저 검사를 해야 합니다. 보건증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신분증을 지참하고 보건소에 가서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검사 항목은 4가지입니다.
폐결핵, 전염성 피부 질환, 장티푸스, 후천성면역결핍증 검사입니다. 타인에게 전염을 할 수 질병을 가지고 있는 사람인지 검사하는 것입니다.
건강진단 검사서 서류를 작성하고 흉부 x-ray 검사와 면봉 검사를 합니다. 보건증 검사 시간은 10분 이내로 끝납니다. 비용은 1만 원~ 3만 원 사이입니다. 보건소와 병원마다 검사 비용이 다릅니다.
검사를 하면 3일 이내 결과가 나왔다는 문자를 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소에 직접 가서 수령하거나 인터넷발급을 하면 됩니다. 그러면 보건증 인터넷발급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1. G-health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상단 메뉴 온라인 민원서비스에서 제증명발급 메뉴로 들어갑니다.

2. 제증명 발급을 위한 개인정보 수집 및 이용동의서를 동의합니다. 그리고 로그인을 해야 합니다. 이름, 주민등록번호를 입력하고 공동인증서로 본인 확인합니다.

3. 로그인을 하면 여러가지 서류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첫번째에 있는 건강진단결과서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pdf 파일 형식으로 보건증 파일이 나타납니다. 프린트 아이콘을 클릭해서 인쇄를 한 후 사용하면 됩니다.
집에 프린트가 있다면 굳이 보건소까지 안가고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유효기간은 1년입니다. 1년동안 자유롭게 보건증을 재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보건증 재발급 방법은 보건소 방문신청, 인터넷 발급이 있습니다. 보건소에 신분증을 지참해서 가면 수수료 300원을 내고 재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인터넷으로 재발급받는 경우 일반 발급하는 방법과 동일합니다. 홈페이지에 접속한 후 제증명발급을 하면 됩니다.